클라우드 53

Cloud에 관한 거의 모든 지식#5 (Cloud와 레그 테크)

이번 시간에는 산업 영역의 규제(Regulation) 준수에 Cloud 기술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근래 금융 업계에서는 금융 규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레그 테크'이라는 개념이 많이 이야기되고 있습니다. 레그 테크(Reg Tech)이란? 레그 테크는 규제(Regulation)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서 정보 기술을 활용해 금융 규제 준수 관련 업무를 자동화/효율화하는 기법을 의미합니다. (참조: 자본시장포커스, 2020-20호) 국내/외 주요 기관에서 정의한 내용을 좀더 찾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영국 금융행위감독청 기존 기능보다 효율적으로 규제 요구 사항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기술에 중점을 둔 핀테크(FinTech)의 하위 집합 금융 보안원 빅테이..

DNS 네임 서버를 직접 구축해보자! (feat. BIND9)

자체 DNS 네임 서버를 구축해봅시다! 리눅스에서는 기본적으로 DNS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해당 기능을 활용해서 간단하게 자체 DNS 네임 서버를 구축해보는 방법을 소개 드리겠습니다! 서버 내부에서만 동작하는 아주 간단한 예제이지만, DNS를 이해하는 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의 목표 nslookup 명령어는 도메인에 대한 IP 정보를 확인하는 커맨드 라인 명령어인데요, 리눅스, 맥OS, 윈도우 등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목표는, Ubuntu 서버 안에서 nslookup 명령어를 통해 내가 원하는 도메인과 IP를 매핑해 보는 것입니다. 도메인 대응되는 값 bind9.kr 1.1.1.1 dns.bind9.kr 2.2.2.2 kt.bind9.k..

쿠버네티스, 이것만 알면 된다! - #4 쿠버네티스 설치

이제부터는 이론과 함께 실습을 통해서 쿠버네티스를 학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습을 위해서 우선 쿠버네티스 설치부터 시작합니다! 먼저, 설치에 앞서 Master Node와 Worker Node로 사용할 2개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을 준비합니다. 사전 작업 쿠버네티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2가지의 사전 작업이 필요합니다. Swap 메모리 비활성화 쿠버네티스는 Pod를 생성할 때, 필요한 만큼의 리소스를 할당 받아서 사용하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메모리 Swap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었기 때문에,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Node들은 모두 Swap 메모리를 비활성화 해줘야 합니다. 다음 명령어를 통해서 Swap 메모리를 비활성화 시켜줍니다. Docker 설치 쿠버네티스의 밑바탕이 되는 Containe..

쿠버네티스, 이것만 알면 된다! - #3 쿠버네티스 구성 요소

쿠버네티스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을까요? 쿠버네티스는 여러 개의 노드(예를 들어, 가상서버/Virtual Machine)로 구성된 클러스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출처: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_print/ 여기서 Node라는 개념이 나오는데요. 위의 그림에서 Node는 하나의 VM(Virtual Machine)을 의미합니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Worker Node와 그러한 Worker Node를 관리하는 Master Nod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때 Worker Node와 Master Node는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쿠버네티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소 1개의 Worker Node를 보유해야 합니다. Master Node에는 ..

안전하게 Cloud 사용하기#2 - 네트워크 보안

1. 가상 네트워크 설계 Cloud에서는 각 고객별로 가상의 네트워크를 제공합니다. 이는 물리적으로 같은 환경 내에서, 고객별로 전용 사설 클라우드를 운영할 수 있다는 뜻이죠. 각 고객은 자신의 가상 네트워크를 다시 분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Subnet이라 합니다. 같은 Subnet은 보안 위협이 전파 가능한 상태로 간주되므로,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보안 위협 전파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KT Cloud 또한 모든 고객에 Virtual Network과 Subnet을 제공하며, Subnet은 Tier라 부릅니다. 각 Subnet은 통신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ACL(Access Control List)이나 방화벽(Firewall)으로 불리는 서비스를 사용하게 됩니다. 여기서는 Stateful In..

5분이면 따라하는 kt cloud Open API 활용 팁

Cloud와 API Cloud를 기존 IT 인프라(Legacy)와 구분하는 특징 중 하나는 'API 지향성'이 아닐까 합니다. 즉, 'API를 이용해서 IT 자원(서버,스토리지..)을 구성하고 이용할 수 있다'라는 점이 Cloud 이전의 IT 이용 패턴과는 큰 차이가 있다는 말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Cloud Native 아키텍처 설계를 논할 때, '사용하기 쉬운 API 제공'은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것 같습니다. 유사한 맥락에서, Cloud 인프라를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CSP들은 대부분 자사의 고객들이 활용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kt cloud 역시 서비스 라인업 별로 풍성한 Open API를 제공하고 있고, 가이드와 관련 도구를 곁들여서 보다 사용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Cloud에 관한 거의 모든 지식#4 (Cloud와 메타버스)

이번 시간에는 요즈음 한창 핫하게 떠오르고 있는 '메타버스와 Cloud'의 관계에 대해서 소개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메타버스(Metaverse)란? 메타버스는 가상/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우주를 의미하는 Universe가 합쳐진 합성어입니다. (from Wikipedia) 3차원 가상 세계,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적인 측면에서 현실과 비현실이 모두 공존할 수 있는 세계를 의미합니다. 1992년 닐 스티븐슨의 소설 '스노우 크래쉬'에서 처음 유래된 조금 오래된 개념이라고 하고요. 레디 플레이어원과 같은 SF 영화에서도 익숙하게 접해왔던 개념이기도 합니다. (현실 세계와 같은 사회/경제적 활동이 통용되는 3차원 가상공간) 또한, 게임의 영역에서는 매우 익숙하게 구현되어 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