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인기 글
-
Cloud
DNS 네임 서버를 직접 구축해보자! (feat. BIND9)
자체 DNS 네임 서버를 구축해봅시다! 리눅스에서는 기본적으로 DNS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해당 기능을 활용해서 간단하게 자체 DNS 네임 서버를 구축해보는 방법을 소개 드리겠습니다! 서버 내부에서만 동작하는 아주 간단한 예제이지만, DNS를 이해하는 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의 목표 nslookup 명령어는 도메인에 대한 IP 정보를 확인하는 커맨드 라인 명령어인데요, 리눅스, 맥OS, 윈도우 등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목표는, Ubuntu 서버 안에서 nslookup 명령어를 통해 내가 원하는 도메인과 IP를 매핑해 보는 것입니다. 도메인 대응되는 값 bind9.kr 1.1.1.1 dns.bind9.kr 2.2.2.2 kt.bind9.k..
-
Container
쿠버네티스(kubernetes)와 가까워지기 - Helm 이란?
Helm이란? Helm은 공식 홈페이지에도 정의가 나와있는 것 처럼 'Kubernetes 패키지 관리'를 도와줍니다. 흔히 패키지 관리를 도와주는 Node.js의 npm과 Python의 pip와 같은 역할이라고 보면 됩니다. Helm을 사용하기에 앞서 우선, 3가지 주요 개념을 꼭 알아야 됩니다. 1. Chart(차트) 헬름 패키지로, k8s cluster에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기 위해 필요한 모든 리소스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mariadb를 기동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인 Deployment, Secret, Service가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mariadb가 설치되면서 새로운 Release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2. Repository(저장소) 차트 저장소로, 차트를 모..
-
Container
도커를 공부하는 초보자를 위한 안내서 5편 - 도커 설치 및 명령어 실습
도커(Docker) 기초 다지기 - 도커 명령어 및 실습 앞선 포스트를 통해 도커가 무엇인지 공부했으니, 이제 실전에 돌입할 차례입니다. 도커 설치부터 핵심적인 명령어까지 실습을 통해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도커(Docker) 설치 도커는 리눅스 컨테이너 기반의 기술입니다. 그러므로, 리눅스 OS가 아닌 맥이나 윈도우에 설치 시 가상머신에서 설치가 된다는 점을 생각하셔야 합니다. Linux 리눅스에 도커를 설치하는 방법은 정말 간단합니다. 자동 설치 스크립트가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root 권한을 요구한 뒤(password 입력) 자동으로 설치가 완료 됩니다. (단 Linux는 ubuntu와 centos를 사용했습니다. 다른 ..
-
Advanced 과정
오픈스택(OpenStack) 1편 주요 개념과 Triple O 아키텍처 소개
오픈스택 주요 개념과 Triple O 아키텍처 소개 목차 오픈스택(Openstack) 주요개념 오픈스택(Openstack) 구성방법 및 Triple o 아키텍쳐 소개 오픈스택(Openstack)이란? 오픈스택(OpenStack)은 Private/public 클라우드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오픈소스 플랫폼을 의미합니다. 컴퓨팅, 네트워크 등의 자원들을 모아 제어하고 운영하는 Cloud OS입니다. 인증, 컴퓨팅, 스토리지 등 기능 별로 구분된 여러 개의 컴포넌트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10년 Austin 버전 릴리즈 된 것을 시작으로 현재는 3월 30일에 yoga 버전이 출시되었고 2022년 10월 Zed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오픈스택(OpenStack) 버전명의 시작 글자는 A..
-
AI Cloud
GPU란 무엇일까? 1부
GPU란 무엇일까? 1부 GPU는 보통 게임할 때 많이 쓰이는 것으로 알고 계실 텐데요, 그러다 보니 비싼 장비, 혹은 비싼 카드 정도로 알고 계신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GPU는 4차 산업혁명과 함께 AI나 가상화폐 채굴 등 여러분의 일상생활을 바꿀 필수 핵심 장비로 탈바꿈 중이랍니다. 과연 GPU는 어떤 구조와 특성을 가지고 있기에 여러 분야에서 쓰일까요? GPU란? GPU의 정의부터 알아봅시다! GPU는 Graphic Processing Unit(그래픽 처리 장치)의 약어로, 그래픽 처리, 특히 3D 모델링을 위한 프로세서로 탄생하였습니다. 1990년대 중반까지만해도 3D 그래픽은 주로 CPU로 구현하였으나, 게임 등의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더 빠르고 실시간 그래픽 처리가 필요했습니다. 1999년..
-
Container
도커를 공부하는 초보자를 위한 안내서 1편 - 컨테이너 개념
도커(Docker) 기초 다지기 - 도커란 무엇인가? 도커(docker)와 컨테이너에 대해서 많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도커와 컨테이너를 쓰면 뭔가 좋은 것이 많다고는 하는데, 도대체 도커는 무엇이고 컨테이너는 무엇일까요? 이번 포스트에서 그 물음에 대한 답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커의 정의 도커(docker)가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 우선 정의부터 살펴보겠습니다. 구글 검색창에 '도커'를 검색하면 위키백과(Wikipedia)에서 정의한 도커의 의미가 나옵니다. '도커(docker)는 리눅스의 응용프로그램들을 소프트웨어 컨테이너(Container) 안에 배치시키는 일을 자동화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여러분은 정의를 보고 단박에 도커가 무엇인지 이해가 되셨나요? 저는 아쉽게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습..
-
Cloud
Edge Cloud(Computing)이 왜 필요할까?
Edge Cloud란? Edge Server(Computing)은 Edge Cloud 라고도 불리는 기술로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 또는 디바이스에게 컴퓨팅 파워를 분산해주는 기술 구조 입니다. 관련 정의를 찾아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from Wikipedia) 분산 컴퓨팅 패러다임의 하나로, 컴퓨팅과 데이터 스토리지를 그것이 필요한 물리적 위치에 좀 더 가까이 이동시키는 모델 위의 Edge Cloud 모델을 통해서, 기존의 중앙 집중형 Cloud 안의 서버들은 소위 "지능적인" 업무를 수행하면서, 컴퓨팅 수행 능력이 거의 없거나 비교적 적은 디바이스들에게 워크로드의 일부를 이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즉, 중앙 집중형 Cloud는 대용량/고성능 처리가 필요한 워크로드에 집중하고, Edge 에서는 초저지연..
-
Basic 과정
공공 클라우드 전환의 핵심! kt 공공 클라우드(G-Cloud) 15분 개념 설명!
2022년 '행정·공공기관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전환·통합사업(1~6차)'에서 공공 클라우드 전환사업 대상 전체 128개 기관 가운데 54개 기관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SP)로 kt cloud 선택! G-Cloud란 무엇인가? 공공클라우드(G-Cloud)란 민간 클라우드를 공공기관의 업무에 활용하기 위하여 정부 규정 및 지침에 맞춰 구축한 클라우드를 뜻하며, 공공기관이 G-Cloud를 이용하기 위해선 반드시 CSAP 인증을 획득한 클라우드를 이용해야합니다. CSAP란 KISA에서 실시하는 클라우드 보안 인증제로써, 물리적 보안, 접근 통제, 네트워크 보안 등 총 14개 분야 117개 통제항목 217개 세부 점검항목에 대해 모두 만족할 때 발급되게 됩니다. kt cloud는 2016년 국내 1호로 CS..
-
Container
쿠버네티스, 이것만 알면 된다! - #1 쿠버네티스란 무엇일까?
쿠버네티스란 무엇일까요? 쿠버네티스란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확장 및 관리를 자동화하는 오픈 소스 시스템입니다. 출처: https://kubernetes.io/ 1주일에 수십억 개의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Google이 내부 배포시스템으로 사용하던 'borg'를 기반으로 2014년 프로젝트를 시작했고, 여러 커뮤니티의 아이디어와 좋은 사례들을 모아 빠르게 발전하였습니다. 이후 Google이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에 코드를 기부함으로써, 쿠버네티스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가 되었습니다. 쿠버네티스는 단순한 컨테이너 플랫폼이 아닌 마이크로서비스, 클라우드 플랫폼을 지향하고, 컨테이너로 이루어진 것들을 손쉽게 담고 관리할 수 있는 그릇 역할을 합니다. 서버리..
-
AI Cloud
K-클라우드의 심장, ‘고성능, 저전력’ 국산 AI반도체 기반 AI Cloud Farm 구축 완료 ( w. NIPA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세계적인 반도체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K-클라우드 프로젝트로 국산 AI반도체가 조속히 레퍼런스를 확보해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K-클라우드 프로젝트 1단계 착수보고회' 내용 中- AI는 수많은 데이터를 학습하고 추론한 결과를 도출합니다. 학습 데이터를 단시간에 받아들이고 처리하기 위해서는 ‘AI 반도체’가 필수인 시대가 도래하였는데요.😁😀 AI 반도체는 AI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대규모 연산을 초고속, 초전력으로 실행하는 효율성 측면에서 특화된 비메모리 반도체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 지난 8월 23일 시장조사업체 가트너가 발표한 AI반도체 시장의 성장률이 AI 산업의 장밋빛 미래를 실감케 합니다. 📃✏📌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AI 반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