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cloud 마케팅커뮤니케이션 팀]
안녕하세요, kt cloud 마케팅커뮤니케이션팀입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이 확산되면서 쿠버네티스는 개발자와 운영자 모두에게 필수적인 인프라 기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도입과 운영 단계에서는 복잡한 설정, 리소스 관리, 보안 구성 등의 과제에 직면하고 있는데요.
이러한 도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15일, kt cloud에서는 ‘쿠버네티스 A to Z: 도입, 운영, 그리고 더 쉬운 방법’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스피커들의 풍부한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쿠버네티스의 핵심 원리 및 활용 방법을 실무 관점에서 풀어보며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했고, 이어서 복잡한 운영을 단순화해줄 kt cloud의 Managed Kubernetes Service를 소개했습니다. 많은 분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시고 질문을 남겨주신 덕분에, kt cloud의 2025년 두 번째 웨비나를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습니다.
아쉽게도 웨비나에 참석하지 못하신 분들을 위해, 이번 웨비나에서 공유된 중요한 정보들과 많은 관심을 받았던 Q&A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쿠버네티스의 핵심 원리 및 활용 방법
첫 번째 세션에서는 쿠버네티스를 직접 운영하거나 관리하는 실무자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운영 원리와 실전 대응 전략에 대해 다뤘습니다. 발표를 맡은 안승규 전문위원은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쿠버네티스 운영을 위해 꼭 챙겨야 할 체크리스트를 공유했습니다.
디스크 용량 부족이 장애로 이어지는 과정과 이를 예방하는 구조 설계법, kubeadm 환경에서 인증서 만료로 인한 서비스 중단 위험, 백업 및 복구 전략의 중요성과 자주 간과되는 복구 시나리오 등을 중심으로 설명했습니다.
특히, 기본 설정 하나가 전체 시스템 장애로 연결될 수 있음을 상기시키며, 쿠버네티스 운영은 단순한 유지보수를 넘어 예방 중심의 설계와 주기적인 점검 체계가 필수적임을 강조했습니다.
이번 세션은 초보자부터 운영 경험자까지 모두에게 실무에 도움이 되는 핵심 점검 포인트를 제공한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kt cloud의 Managed Kubernetes Service
![[웨비나 후기] 쿠버네티스 A to Z 웨비나](https://blog.kakaocdn.net/dn/lKFCd/btsN4Q8WH1I/9kj6D0fZSNpNKPH8H4O4W1/img.png)
![[웨비나 후기] 쿠버네티스 A to Z 웨비나](https://blog.kakaocdn.net/dn/bSUCrR/btsN33A9ZRt/0PlPZiQ1G36Wpd5VtVhil0/img.png)
이어지는 두 번째 세션에서는 Container Service팀 박용훈 팀장이 쿠버네티스 운영에서 반복적으로 겪는 복잡성과 부담을 줄여줄 Managed KS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기존의 K2P(kt cloud Kubernetes Pack)는 Cluster 생성 자동화와 다양한 Node Provisioning 기능을 제공하여 Cloud Native 아키텍처 구성에 필요한 다양한 옵션 상품을 유연하게 연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다만 Worker Node와 Control Plane 영역 모두를 고객이 직접 운영해야 했기 때문에, 장애 발생 시 대응이나 보안 취약점 관리에 대한 부담이 컸습니다.
반면 kt cloud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관리형 쿠버네티스 서비스, Managed KS는 kt cloud에서 Control Plane 운영을 전담하며, 장애 발생 시 자동 복구 기능을 제공하고 설치 및 프로비저닝도 자동화해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또한, 보안 업데이트와 CSAP 인증 대응을 선제적으로 처리해 고객의 부담을 크게 완화했습니다.
이로 인해 운영과 비용 부담이 줄고, 장애 발생 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해져 고객들의 불편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kt cloud의 Managed KS에 대해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1. 전담 DevOps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 환경에서 Kubernetes 운영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는 현실적인 자동화 방안, 컨테이너 기반 서비스를 처음 도입할 때, Kubernetes가 복잡성 부분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쿠버네티스 플랫폼의 경우 관리형 상품으로 사용하시면 관리적 측면에서는 도움을 받으실 수 있으며, 개발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은 다양한 오픈소스나 CSP 상품으로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단, 조직 내에서 적용을 검토하신다면 조직 내 DevOps 체계를 수립해 나가시는 것을 권고 드립니다.
2. Managed KS는 master쪽은 공통으로 사용하고 work node만 할당받나요? 아니면 master와 work node 모두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나요?
Managed KS는 Control Plane을 개별 관리하며, 고객께서는 Worker Node만 할당받아 사용하시면 됩니다.
3. Managed KS에서는 K8s 업데이트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포탈 콘솔에서 Control Plane 업그레이드 기능을 제공합니다. Worker Node는 서비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포탈 매뉴얼로 가이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초기 도입시 사전 준비 및 검토되어야 할 사항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인프라, 보안, 모니터링, CI/CD 등 사전 기술적 준비와 애플리케이션 요구사항 검토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쿠버네티스 웨비나 A to Z 웨비나 다시보기
'kt cloud Story > Webin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렌드 리포트] “쿠버네티스, 써보니 어땠나요?” – 실무자들이 직접 밝힌 운영 현실 (2) | 2025.05.21 |
---|---|
[웨비나] 쿠버네티스 A to Z: 도입, 운영, 그리고 더 쉬운 방법 (1) | 2025.04.28 |
[트렌드 리포트] 설문조사 통계로 알아보는 '기업들의 AI 고민과 해법' (0) | 2025.03.25 |
[웨비나 후기] kt cloud AI 사업 및 GPUaaS 소개 웨비나 (1) | 2025.03.25 |
[웨비나] AI 비즈니스 성공 전략, kt cloud 웨비나에서 확인해보세요! (2)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