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아키텍처 설계와 구현에 관한 전문 지식을 공유합니다. kt cloud의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클라우드 아키텍처 패턴과 사례를 소개합니다.

Tech Story/Cloud Architecture 59

Cloud에 관한 거의 모든 지식#5 (Cloud와 레그 테크)

이번 시간에는 산업 영역의 규제(Regulation) 준수에 Cloud 기술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근래 금융 업계에서는 금융 규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레그 테크'이라는 개념이 많이 이야기되고 있습니다. 레그 테크(Reg Tech)이란? 레그 테크는 규제(Regulation)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서 정보 기술을 활용해 금융 규제 준수 관련 업무를 자동화/효율화하는 기법을 의미합니다. (참조: 자본시장포커스, 2020-20호) 국내/외 주요 기관에서 정의한 내용을 좀더 찾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영국 금융행위감독청 기존 기능보다 효율적으로 규제 요구 사항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기술에 중점을 둔 핀테크(FinTech)의 하위 집합 금융 보안원 빅테이..

DNS 네임 서버를 직접 구축해보자! (feat. BIND9)

자체 DNS 네임 서버를 구축해봅시다! 리눅스에서는 기본적으로 DNS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해당 기능을 활용해서 간단하게 자체 DNS 네임 서버를 구축해보는 방법을 소개 드리겠습니다! 서버 내부에서만 동작하는 아주 간단한 예제이지만, DNS를 이해하는 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의 목표 nslookup 명령어는 도메인에 대한 IP 정보를 확인하는 커맨드 라인 명령어인데요, 리눅스, 맥OS, 윈도우 등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목표는, Ubuntu 서버 안에서 nslookup 명령어를 통해 내가 원하는 도메인과 IP를 매핑해 보는 것입니다. 도메인 대응되는 값 bind9.kr 1.1.1.1 dns.bind9.kr 2.2.2.2 kt.bind9.k..

5분이면 따라하는 kt cloud Open API 활용 팁

Cloud와 API Cloud를 기존 IT 인프라(Legacy)와 구분하는 특징 중 하나는 'API 지향성'이 아닐까 합니다. 즉, 'API를 이용해서 IT 자원(서버,스토리지..)을 구성하고 이용할 수 있다'라는 점이 Cloud 이전의 IT 이용 패턴과는 큰 차이가 있다는 말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Cloud Native 아키텍처 설계를 논할 때, '사용하기 쉬운 API 제공'은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것 같습니다. 유사한 맥락에서, Cloud 인프라를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CSP들은 대부분 자사의 고객들이 활용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kt cloud 역시 서비스 라인업 별로 풍성한 Open API를 제공하고 있고, 가이드와 관련 도구를 곁들여서 보다 사용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워크플로우관리도구) Airflow 튜토리얼 #1 - Overview

Airflow란? Airflow는 Airbnb에서 개발한 워크플로우 관리 오픈소스 툴입니다. 아마도, 직장인 분들은 공감하실텐데요. 메일 보내놓고, 답장 기다리면서 느긋하게 현생을 즐길 수 있다면 좋겠지만 ㅠㅠ 다음 주 보고 자료도 수정해야하고, 옆팀에서 들어온 요청도 해결해야 하고 처음에 기다리던 메일은 또 제때 안 옵니다. 한 번 더 리마인드 메일도 보내고요 등등등.... Airbnb 서버도 이런 문제가 있었나 봅니다.....ㅠㅠ 에어플로우는 바로 (우리보다 조금 더 바쁠 것 같은) 서버를 위해 사용됩니다. 데이터 받아오기까지 가만히 있지 말고 사용자 요청도 처리하고.. 한 마디로 서버를 조금 더 열심히 굴리기 위한 툴인거죠. 장점 1. 파이썬으로 DAG 작성 에어플로우의 특징이자 장점 중 하나는, ..

Cloud에 관한 거의 모든 지식#4 (Cloud와 메타버스)

이번 시간에는 요즈음 한창 핫하게 떠오르고 있는 '메타버스와 Cloud'의 관계에 대해서 소개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메타버스(Metaverse)란? 메타버스는 가상/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우주를 의미하는 Universe가 합쳐진 합성어입니다. (from Wikipedia) 3차원 가상 세계,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적인 측면에서 현실과 비현실이 모두 공존할 수 있는 세계를 의미합니다. 1992년 닐 스티븐슨의 소설 '스노우 크래쉬'에서 처음 유래된 조금 오래된 개념이라고 하고요. 레디 플레이어원과 같은 SF 영화에서도 익숙하게 접해왔던 개념이기도 합니다. (현실 세계와 같은 사회/경제적 활동이 통용되는 3차원 가상공간) 또한, 게임의 영역에서는 매우 익숙하게 구현되어 온..

KT Cloud를 사용하면 내가 낼 돈은 어떤 기준으로 측정될까?

기획 연재 ① KT Cloud 사용하면 내 돈은 얼마나 빠져나가게 되는 걸까? ② KT Cloud 사용하면 내가 낼 돈은 어떤 기준으로 측정 될까? ③ KT Cloud 사용하면서 돈을 아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④ KT Cloud 사용하면서 내야할 돈이 맞지 않으면 어떻게 물어보면 될까? 지난 포스트에서는 'KT Cloud를 사용하면 내 돈은 어떻게 빠져나가게 되는 걸까?'라는 글로, KT Cloud의 이용 요금을 확인하실 수 있는 방법을 설명드렸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 단계 더 들어가서, 'KT Cloud의 요금'이 산정되는 방식을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Cloud를 사용한다는 것은 결국 '컴퓨팅 자원'을 빌려서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어떤 자원을 빌려서 사용한다고 했을 때, 그 자원이 어떠한 가치..

효과적으로 일해보고 싶지 않아? 효율적인 협업툴 KT BizWorks

메신저에 프로젝트, 화상회의 기능이 통합된 All-in-One 협업 솔루션인 KT BizWorks! 쉽고 직관적인 사용법으로 임직원 누구나 별도의 교육 없이도 즉시 사용 가능합니다. PC/웹은 물론 데스크톱 프로그램, 스마트폰 앱, 태블릿까지 모두 제공하여 Any Device, Any Where, Any Time 협업이 가능하게 합니다. ㅇ 상세소개 : https://cloud.kt.com/bizstore/bizcon/... ㅇ 상품소개서 : https://cloud.kt.com/download/KT_BizW...

한방에 이해되는 가상화 기술 용어 정리

가상화 기술이 궁금할 때...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가상화 용어 중 헷갈릴 수 있는 용어들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전가상화/반가상화 같은 용어들을 보거나 들었을 때 아~ 감은 잡히는데 말로 설명하려고 하면 입 밖으로 말이 잘 나오지 않았던 기억이 있었습니다. 저와 같은 어려움을 겪지 않게 해드리고자, 블로그 포스트로 정리드립니다! 하이퍼바이저 가상화? 호스트 가상화? 호스트 가상화와 하이퍼바이저 가상화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가상화를 작동 사용하기 위한 호스트 OS가 필요한가 아닌가로 구분하시면 됩니다. ㅇ 호스트 가상화(Type II 가상화) - Host OS 위에 가상화를 구동 시켜 Guest OS가 구동되는 방식 입니다. - Windows OS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Virtaul Box등을 생각..

KT Cloud Dev Tools - IMDB 기술 소개

배경 AI, 빅데이터 등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급격하고 꾸준히 증가하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시스템 혹은 소프트웨어에서 처리해야할 데이터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용량 데이터 처리 요청에 빠르게 대응하기위해 설계된 DB의 한 종류인 IMDB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IMDB(In-Memory DataBase)란? IMDB 혹은 MMDB(Main Memory DataBase)는 DB의 데이터를 HDD, SSD 등의 디스크에 저장하지 않고, RAM 즉, 메인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말합니다. IMDB의 장단점은 모두 디스크가 아닌 메모리에 저장된다는 점에서 발생합니다. 우선 메모리에 저장되는 특성상 데이터의 I/O 속도가 월등하게 빠릅니다. 디스크 기반의 DB에서 필요한 '원하는 데이터를 찾..

Cloud에 관한 거의 모든 지식#3

이번 시간에는 "Cloud를 왜 사용해야 하나요?"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Cloud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Cloud를 필요로 하는 기업 혹은 개인을 둘러싼 상황 만큼이나 다양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하나의 이유를 골라 보라고 한다면, 저는 아래의 한 문장으로 답을 하고 싶습니다. 가장 중요한 이유는 경제! = 비용 + 시간 + 기술 즉, Cloud를 도입하게 되면 사용하지 않는 것 보다 비용/시간/기술 측면에서 '경제적 혜택'을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대체 어떻게 그러한 혜택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인지 하나씩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 이유. 더 쌉니다! 한마디로, Cloud를 이용하는 것이 더 싸다는 것입니다. 이는 간단한 경제 이론으로 설명드릴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