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아키텍처 설계와 구현에 관한 전문 지식을 공유합니다. kt cloud의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클라우드 아키텍처 패턴과 사례를 소개합니다.

Tech Story/Cloud Architecture 58

Cloud 인프라 Intro - 물리서버와 가상서버

물리서버와 가상서버에 대해 Cloud가 다양하고 많은 분야에 도입 되면서, Cloud 인프라에 대한 용어 역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자주 듣긴 하지만 명확히 정의하기는 어려웠던, 인프라 관련 용어들을 정리하고 공유 드리려고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어? 들어봤는데.. 분명 아는 내용인데.." 라는 생각이 들면서 자주 접하게 되는 Cloud의 가상서버에 대해 그리고 물리서버와의 차이를 헷갈리지 않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가상 서버에서 사용하는 단어 정리 ㅇ 가상화 하나의 하드웨어를 여러 대 처럼 동작시키거나 반대로 여러 대의 장치를 묶어 하나의 장치 인 것처럼 사용자에게 공유자원으로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ㅇ 서버 가상화 위 가상화를 참고하여 말씀드리자면, 한 대의 물리적 서버를 여러 대의 가상 서버로 나..

kt cloud, Hybrid Cloud 관리 플랫폼 v1.0 출시

What Hybrid Cloud? Hybrid Cloud는 Public Cloud와 Private Cloud를 조합하여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보관하는 혼합형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최근에는 Public Cloud와 Private Cloud뿐만 아니라 IDC, On-Premise 인프라, Container 까지도 수용하는 형태를 갖추고 있습니다. Why Hybrid Cloud? How manage Hybrid Cloud? 많은 기업들이 IT 인프라 비용을 절감하고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자체 구축한 인프라와 클라우드를 병행한 'Hybrid Cloud'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과 복잡한 인프라 구성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하는 것이 당면 과제가 되었습니다. 고객사는 데이터베이스 서..

Cloud에 관한 거의 모든 지식#2

Cloud에 대해서 누군가 물어볼 때, 당황하지 않고 '뭘 그런걸 물어보고 그래?' 라며 대응할 수 있는 방법 2가지를 소개드립니다. (아래 소개드리는 내용이 조금 유치하거나 식상하다고 생각되신다면 댓글로 소중한 의견 공유 부탁드립니다 ^^) 방법1. 가장 권위(?)있는 "Cloud에 대한 정의" Cloud라는 용어 혹은 개념을 설명하는 글에서 자주 인용되는 '정의'가 있습니다. 미국 국립 표준 기술 연구소인 NIST에서 소개하는 '정의'입니다. NIST?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는 미 상무부 소속의 기관으로, 미국내 측정가능한 모든 기술 표준을 정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꽤 오래전인 2011년도에 약 3페이 분량의 짤막한 문..

kt cloud Dev Tools - CLI & SDK

GUI 와 CLI 컴퓨터를 사용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쉽게 말하자면 마우스로 클릭하는 GUI, 키보드로 입력하는 CLI 방식인데요. 이번 글의 주제인 CLI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드리자면, CLI(Command Line Interface)란 사용자가 요청을 컴퓨터와 주고 받을 수 있게 만들어진 도구입니다. 그리고 '요청'의 방식이 키보드를 통한 명령어 입력이 되는 것입니다. 예시로는 리눅스의 bash, sh나 윈도우의 Powershell 등이 있습니다. GUI와 CLI는 각각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의 특성에 맞게 골라 사용하면 됩니다. KT Cloud 서비스를 예로 들어볼까요? KT Cloud는 웹 기반의 GUI 형식 관리 도구인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합니다. 즉, 고객..

KT Cloud Dev Tools - DNS 기술 소개

DNS(Domain Name System)이란 무엇일까요? 지금 여러분이 보고 계신 KT Cloud 테크 블로그 맨 위에, 무엇이 보이시나요? tech.ktcloud.com 이라는 도메인 주소가 보이시죠? 우리는 특정 사이트에 들어가기 위해 URL을 입력하지만, 실제로는 해당 사이트의 IP 주소를 알아야만 접속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KT Cloud 홈페이지에 접속하고 싶다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cloud.kt.com이 아닌, 실제 IP 주소인 14.x.x.x를 통해야 접속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14.x.x.x라는 IP 주소를 외우고 있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될까요? DNS는 이렇게 외우기 힘든 IP 주소와 사용하기 편리한 도메인 주소를 매핑해줘서, 사용자가 도메인 주소를 입력했을 때 이..

Cloud에 관한 거의 모든 지식#1

우리가 'Cloud'라는 기술에 대해서 듣고, 이야기하게 된 것은 사실 꽤 오래 되었습니다. 가트너 Hype Cycle에 따르면, 이미 2010년도에 Cloud는 '최고로 주목 받는 기술 중 하나'였습니다. - Hype Cycle: 새로운 기술의 등장과 성숙에 대한 라이프 사이클을 표현하는 도구(가트너에서 개발) - Peak of Inflated Expectations: 기술에 대한 부풀려진 기대감(과대 광고 등)이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 하지만, 여전히 우리는 Cloud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할 때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여전히 우리 주변에는 Cloud에 대해서 궁금해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고요. 이러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데 도움을 드리기 위한 자그마한 기획을 시작해 보고자..

KT Cloud 산업 영역별 상품 소개#3 - 기업 전용 클라우드

고객의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기업전용 클라우드 타이틀 입력부분 새로운 보안 정책과 IT기술의 등장으로 국내 IT 환경도 빠르게 변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대표 기업전용 클라우드 서비스인 KT Cloud는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에 최적화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오늘 소개드릴 상품은 기업 고객의 니즈 맞춤형 Cloud인 기업전용 클라우드 서비스 입니다. KT는 2013년 5월 Enterpriser 전용 클라우드 서비스를 런칭하여 기업 고객 대상으로 강화된 보안성을 가진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Enterprise Cloud와 Enterprise Security Cloud KT Cloud의 기업전용 클라우드는 물리적인 HW 장비 기반으로 강화된 보안성을 제공합니다. KT C..

협업 프로젝트 관리 1부 - 오픈소스 툴 소개

개인 vs 팀의 프로젝트 관리 어느 날, 친구에게 교통사고를 당했다는 연락을 받은 나 (다급)괜찮아? 안다쳤어? vs (침착) 보험 들었어? 여러분은 어떻게 반응하시나요? 1000% J형이라 대학생 때부터 계획 잘 세우고 착착 지켜야 심신안정이 유지됐기 때문에 생산성 관리 툴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Evernote를 구독하기도 하고 팀플할 때는 Google Docs나 Trello를 이용하자고 팀원들을 부추기기도 했어요. 그 중에서도 2년 전쯤부터 정착을 완료한 Notion은 매일매일 쓰는 없으면 안될 툴이고요. 개인이 아닌 '팀'의 프로젝트 관리는? 보안 그러나, 회사에서는 보안 문제에 걸려 기존에 개인 컴퓨터에서 사용하던 툴을 사용할 수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업무용으로는 사내에서 이미 사용 중인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