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cloud의 기술 전문가들이 전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데이터센터 기술 이야기입니다. 인프라 구축부터 운영까지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전문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Tech Story 142

안정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 kt cloud의 새로운 ‘Object Storage’ 출시

[kt cloud 상품전략팀 최영화 님] 안정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 kt cloud의 새로운 ‘Object Storage’ 출시타이틀  이번 가을, kt cloud의 새로운 ‘Object Storage’를 출시합니다.기존 오브젝트 스토리지 대비 다양한 콘솔 기능 및 특장점을 갖춘 서비스로서, 공공 클라우드에 우선 제공할 예정이며, 이후 민간 클라우드도 오픈 됩니다.“그럼 기존 Object Storage도 여러 버전이 있는데, 여기에 새로운 버전이 추가되는 것인가?”라는 질문이 있을 것 같습니다.그래서 기존 Object Storage와의 차이점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자 합니다.  현재 쓰고 있는 Object Storage는 사라지나요?   아닙니다!기존의 ‘Storage 1.0 / 2.0 / 3.0' 서..

kt cloud 파트너사를 위한 전용 API 쉽게 사용하기(feat.파트너 포털)

[kt cloud Cloud채널강화팀 권재한 님]   kt cloud 파트너사를 위한 전용 API 쉽게 사용하기(feat.파트너 포털)  다양한 Cloud사업자(CSP)는 자사의 Cloud 서비스를 고객과 파트너사들이 쉽게 이용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콘솔(Console)을 제공하고 있지만 개발자나 엔지니어에 친화적으로 API와 SDK와 같은 형태의 서비스도 함께 제공합니다. 그 중에서도 많이 이용되는 방식은 API 입니다. 그럼 API란 무엇인지 먼저 개념을 알아볼까요?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요약]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을 말한다.운영체제나 C, C++, Pascal 등..

NAS를 중심으로 보는 세상(하): NAS에서 데이터센터까지

[kt cloud IDC엔지니어링팀 조현제 님]  NAS를 중심으로 보는 세상(하): NAS에서 데이터센터까지 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개인이나 소규모 그룹을 위한 저장 및 공유 솔루션으로, 데이터센터는 대규모 데이터 처리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데이터센터는 수백 페타바이트(PB)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며, 웹 호스팅, 클라우드 서비스, 빅데이터 분석, AI 연산 등을 제공합니다.  NAS와 데이터센터 비교규모와 기능: NAS는 몇 테라바이트(TB)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개인 또는 소규모 그룹을 위한 파일 공유와 백업 기능을 제공합니다. 반면, 데이터센터는 대규모 기업 환경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전 세계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관리: NAS는 ..

NAS를 중심으로 보는 세상(상): NAS 소개와 활용 방법

[kt cloud IDC엔지니어링팀 조현제 님]   NAS를 중심으로 보는 세상(상): NAS 소개와 활용 방법  안녕하세요!오늘은 디지털 시대에 데이터 관리를 쉽게 도와주는 NAS(Network Attached Storage)에 대해 알아볼게요. NAS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저장장치로, 파일 공유, 백업, 미디어 스트리밍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TCP/IP 네트워크 구성의 기본 개념을 통해 NAS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려 합니다.  NAS란 무엇인가? NAS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드디스크로, 단순 저장장치가 아닌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작은 컴퓨터와 같습니다.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할 수 있고, 운영 체제가 탑재되어 있어 파일 서버, 백업 서버, 미디어 서버로도 사용할 수 ..

AMD MI250 GPU로 vLLM 최적화 하기 (feat. AI SERV)

[kt cloud AI플랫폼팀 최지우 님]    AMD MI250 GPU로 vLLM 최적화하기 최근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발전과 함께 인공지능 연구 및 상용화 과정에서 GPU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NVIDIA는 이 분야에서 시장을 주도하며 AI 연산에 필수적인 GPU 기술을 제공하고 있지만,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고 가격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기업과 연구 기관들은 더 경제적이면서도 성능이 뛰어난 대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그 중 하나가 vLLM 프로젝트입니다. vLLM은 LLM 추론 및 제공을 위한 빠르고 사용하기 쉬운 라이브러리입니다. PagedAttention을 이용하여 Key-Value(KV) Cache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blo..

Tech Story/AI Cloud 2024.10.14

kt cloud만의 CentOS 지원 종료(EOL) 가이드😮 : Suse Liberty on kt cloud🕶️

알고 계셨나요?😮😣 📢 2024년 6월 30일 자로, 레드햇의 CentOS 7 지원이 종료가  되었습니다.무료 리눅스였던 CentOS는 지금까지 보안 패치나 버그 픽스 등 OS 지원을 계속받아왔는데요.아쉽게도....해당 OS의 EOL로  사용 고객들은 더 이상의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대안은 없는 걸까요?다른 오픈소스 리눅스로의 마이그레이션이 있는데, 이럴 경우 개발/상용 Application의 호환성 검증이 방대하여 시간이 많이 필요하게 됩니다. ㅠㅠㅠㅠ                                                       1분 1초도 아까운데, 마냥 기다릴 수만은 없죠?  그래서kt cloud가 Suse와 함께 CentOS 7.9 대상의 기술지원 구독..

[카드뉴스] 고객 사례로 알아보는 ' Cloud DR'🏢: 👌 비용절감! 편의성! 데이터보호

Cold DR은 On-Premise 또는 Multi Cloud 고객 대상 원격 & 소산 백업서비스를 말합니다. kt cloud 이용 유무와 관계 없이 고객 전산실 또는 Multi-Cloud 기반으로 운영 중인 시스템 대상으로도 kt cloud 센터 내 Cold DR 환경 구성이 가능한데요. 고객의 복제 데이터가 대용량일 경우 장비 기반의 데이터 이전 (Mobility) 서비스와 데이터 복제/복구에 필요한 전용회선/VPN 환경도 지원합니다.🎆🎈✨ 아래, 고객 사례를 통해 Cold DR의 효용성을 알아봅니다.

IT담당자 예산 SAVE Tip📢 : 국내 최저가로 만나보는☺ RHEL OS 이미지 상품 'RHEL on kt cloud'

🎈고객사례 • A기관의 IT담당자는 이번 CentOS의 지원 종료 이후, 기술 지원이 없는 OS보다 보안성과 안정성을 제공하는 리눅스를 고민하고 있다. • B기관의 IT담당자는 매년 구매하는 Red Hat Enterprise Linux를 매년 별도의 결재 프로세스로 신청하는 것이 힘들어서, 사용 중인 CSP에서 같이 제공해줄 수 있는지 물어보고 있다. • C기관의 IT담당자는 매년 OS구독료의 비용이 너무 많이 나가지만, 마땅히 다른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위 사례는 실제 도입을 고려하는 고객 상담 내용을 기초로 각색한 내용입니다. 새해 첫 Cloud 상품이 드디어 공개되었습니다. 🎉🎉🎉🎉🎉🎉 kt cloud와 Red Hat이 '최근 'RHEL OS 이미지형 구독상품'을 출시하였는데요. 두구두구두구..

[K2P&HAC] 초거대 AI 활용을 위한 Hyperscale AI Computing과 Container 서비스

최근 AI가 모든 산업에 적용되면서 AI 모델은 점차 대형화되고 있고, 그로 인해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GPU 컴퓨팅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기업은 머신러닝 및 딥러닝을 위한 GPU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설치비용, 운영비용, 주문&설치기간 등을 고려할 때 Cloud를 활용하여 GPU를 사용할 수 있는 GPUaaS(GPU-as-a Service)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데요. 세계적으로 Cloud 전환이 가속화되고, 비디오 편집, 그래픽 디자인, 이미지 처리 등 고성능 컴퓨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GPUaaS 기술의 시장 전망은 2025년까지 연평균 38% 성장하여 약 71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처럼 GPUaaS 시장 전망을 보면 AI 기술은 매년 꾸준히 발달..

Tech Story/AI Cloud 2023.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