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변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도, 인프라의 안정성은 변하지 않는 핵심가치입니다. 이번 케클s피드 10월 호에서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도 멈추지 않는 인프라를 설계하는 방법과, 이를 뒷받침하는 보안·AI 기술 인사이트를 전해드립니다. 지속 가능한 IT 인프라 운영의 기준, 케클s피드에서 확인해 보세요. 💡 |
kt cloud로 완성하는 복원력 백업·DR·Multi-Region·HA 개념부터 설계 전략까지 |
클라우드 인프라의 중단은 이제 단순한 기술적 문제를 넘어, 기업의 생존과 신뢰를 위협하는 경영 리스크로 이어집니다. 최근 글로벌 서비스 장애와 데이터센터 화재 사례는 하나의 사실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완벽한 예방은 불가능하지만, 빠른 복구와 지속 가능한 설계는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이번 기술 리포트에서는 백업·DR·멀티 리전·고가용성(HA)으로 이어지는 복원력 설계의 전 과정을 다룹니다.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넘어, 장애를 전제로 한 설계(Resilience by Design)와 AI 기반 자율 복구(AIOps), 카오스 엔지니어링 같은 최신 접근법까지 폭넓게 짚어보았습니다.
장애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이겨내는 인프라. 멈추지 않는 서비스를 위한 복원력의 설계 철학, kt cloud가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 kt cloud Cold DR 더 알아보기 |
지난 RAG 시리즈 1편에서는 RAG의 아키텍처와 핵심 구성 요소, 그리고 검색과 생성이 결합되는 구조의 원리를 살펴봤습니다.이번 2편에서는 한 단계 더 나아가, “그렇다면 실제 데이터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라는 질문에 답합니다. 좋은 모델을 써도 결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때, 그 이유는 대부분 데이터 파싱과 전처리 과정에 있습니다. PDF 보고서, 웹페이지, 데이터베이스, 스캔본 등 형태가 제각각인 데이터를 다루며 발생하는 오류들을 짚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유형별 파싱 전략·품질 관리·자동화 운영 노하우를 정리했습니다.RAG 품질을 좌우하는 데이터 준비의 핵심, RAG 시리즈 2편에서 확인해보세요. |
데이터센터에서 전력은 생명줄입니다. 잠깐의 정전도 수많은 서비스 중단과 손실로 이어질 수 있죠. 이를 막기 위해 데이터센터는 UPS(무정전 전원장치)를 운용하며, 그 중심에는 ‘배터리’가 있습니다.
데이터센터의 전력 안정성과 배터리 안전 관리는 중단 없는 서비스를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UPS의 에너지를 저장하는 핵심 구성 요소인 배터리의 구조와 작동 원리, 그리고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한 예방·관리 방안을 다룹니다. kt cloud는 안정성이 검증된 납·리튬인산철 배터리만을 사용하고, 정밀 모니터링과 복구 훈련을 통해 어떤 상황에서도 중단 없는 데이터센터 운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
GPU 서버 성능 저하의 숨겨진 원인 보안 위협 탐지 실전 경험 |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서버는 한가한데 CPU(Central Processing Unit)만 풀가동되거나, 트래픽 경보가 반복적으로 울린다면, 단순한 성능 이슈가 아니라 암호화폐 채굴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이런 채굴 행위는 CPU·GPU를 장시간 점유해 리소스를 낭비하고, 때로는 외부 스크립트나 악성코드가 몰래 실행되기도 합니다. 결과적으로 운영비 손실뿐 아니라 보안 위협으로도 이어질 수 있죠.
이번 글에서는 클라우드 GPU 환경에서 실제로 발생한 채굴 사례를 중심으로, 리소스 사용 패턴과 트래픽 이상 징후를 통해 어떻게 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지 살펴봅니다. |
📘 이달의 키워드 [DR] DR(Disaster Recovery, 재해 복구)은 예기치 못한 장애나 재해 상황에서도 서비스를 신속하게 복구해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체계입니다. 단순한 백업을 넘어, 데이터 복제·이중화·소산센터 운영을 통해 중단 없는 서비스를 실현하는 것이 핵심이죠. 데이터센터의 복원력과 신속한 대응 체계는 이제 모든 기업의 필수 경쟁력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kt cloud는 전국 주요 거점 데이터센터 간 이중화와 DR 구성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